MORE NEWS
-
경산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한국사 자기계발 프로그램 성료
경산시 - 경산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한국사 자기계발 프로그램 성료2 (사진제공=경산시)
[아시아월드뉴스] 경산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센터장 정성희)는 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와 MOU를 통해, 관내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쉽게 알아가는 한국사’ 자기 계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했다.본 프로그램은 4월부터 10월까지 총 24회(48시간) 동안 진행됐으며, 참여한 학교 밖 청소년들은 한국사의 기본 개념과 주요 사건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해 고졸 검정고시 한국사 과목에서 다수 합격자를 배출하는 성과를 거뒀다.또한 참여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자신감을 회복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했으며, 다가오는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준비를 이어가며 자기 계발과 자립 역량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정성희 센터장은“학교 밖 청소년들이 학업과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주도적으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청소년들의 성장을 위한 다양한 기회를 꾸준히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한편 경산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는 상담, 검정고시 학습지원, 직업 체험, 자립 지원, 건강검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참가 신청 및 자세한 문의는 경산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로 하면 된다.
2025-10-13
-
전국한우협회 대구경북도지회, 영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 1000만원 상당 한우곰탕 기탁
영천시청사전경 (사진제공=영천시)
[아시아월드뉴스] 영천시(시장 최기문)는 13일 전국한우협회 대구경북도지회(도지회장 장성대)가 영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에 1000만원 상당의 한우곰탕 20kg 50상자를 기탁했다고 밝혔다.이날 기탁식에는 장성대 도지회장을 비롯한 도지회 및 영천시지부 관계자들이 참석했으며 최기문 영천시장은 감사의 뜻을 전했다.대구경북도지회는 2020년부터 매년 사회복지시설과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한우곰탕 나눔 행사를 이어오며 지역사회 기부문화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이번에 기탁된 물품은 경북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해 영천시장애인종합복지관 이용자들의 영양 보충과 건강 증진에 활용될 예정이다.장성대 도지회장은 “지역사회의 어려운 이웃들에게 작으나마 힘이 되고자 회원들과 마음을 모아 준비했다”며 “앞으로도 한우농가가 지역과 상생하며 다양한 나눔 활동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최기문 영천시장은 “우리 지역 한우농가가 보여주신 따뜻한 나눔이 큰 울림이 된다”며 “기탁해 주신 소중한 물품은 장애인시설에 잘 전달해 더불어 사는 희망복지도시 영천을 만들어 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2025-10-13
-
문경시의회, 관광용 테마열차 무단 방치 관련 감사원 공익감사 추진
년 문경시의회 캠페인 썸네일 (사진제공=문경시)
[아시아월드뉴스] 문경시의회(의장 이정걸)가 최근 논란이 된 ‘문경 관광용 테마열차 무단 방치’ 사태와 관련해 감사원 공익감사 청구를 추진하기로 했다.의회는 다가오는 제288회 임시회에서 관련 안건을 상정해 사업 전반에 대한 외부 감사를 공식 요청할 방침이다.이번 청구는 사업의 계획 단계부터 업체 선정, 시공, 검수 과정 등에서의 문제점을 면밀히 점검하고 법적- 행정적 책임을 명확히 하기 위한 조치다.이정걸 의장은 “시민의 세금으로 추진된 사업인 만큼 공정성과 투명성을 철저히 확보해야 한다”며 “행정의 신뢰 회복과 유사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2025-10-13
-
울릉군-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및 (사)한국해안숲보전협회 MOU체결
관련사진 각1매 (사진제공=울릉군)
[아시아월드뉴스] 울릉군(군수 남한권)은 10월 13일(월) 울릉군청 군수실에서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총장 장일홍) 및 (사)한국해안숲보전협회(회장 백정애)와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울릉군과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및 (사)한국해안숲보전협회 간의 상호 협력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하고 교육- 연구- 실천 활동을 공동으로 추진해 울릉도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지역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교육 혜택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주요 협약 내용으로는 공동 학술 연구 및 정보 교류, 홍보 및 협력 마케팅 과 함께 울릉군 추천자에 대한 장학제도 운영 및 입학금 면제 등 상호 협의를 통한 공동 기관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세 기관은 지속 가능한 공동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울릉도 해안숲 및 생태 보전 사업, 학위과정 원격교육, 지역특화 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 등 울릉군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지역산업 발전에 협력하기로 했다.남한권 울릉군수는 “이번 협약을 통해 울릉군의 자연과 지역 주민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실질적인 협력의 문이 열렸다”며 “교육- 환경- 행정이 함께하는 지속 가능한 울릉형 모델을 만들어가겠다”고 전했다.
2025-10-13
-
대구시 최초 하수관로정비 BTL 사업, 기대감 높다!
사업 위치도 (사진제공=대구광역시)
[아시아월드뉴스] 대구광역시는 금호강 르네상스 핵심사업인 ‘하수관로 우- 오수 분류화 사업’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10월 13일(월) 오후 2시 동인청사 2층 상황실에서 ‘달서천 1구역 하수관로정비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의 실시협약을 롯데건설과 체결했다.협약식에는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과 장지영 롯데건설 토목사업본부장이 참석했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사업시행자 지정 및 실시설계 착수 등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달서천 1구역 하수관로정비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은 서구 비산- 평리동 일원에 총사업비 861억원을 투입해 37㎞의 오수관로 신설과 3,709가구를 대상으로 배수 설비 정비를 추진하는 대규모 민간투자사업이다.이 사업은 대구시 최초의 우- 오수 분류화 BTL 사업으로 앞으로 추진될 2~5구역을 견인할 선도 모델로서 의미가 크다.2023년 12월 민간투자사업으로 지정된 이후 각종 심의와 환경영향평가, 협상, 의회 동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 최종 실시협약 체결에 이르게 됐다.사업은 롯데건설을 대표사로 하는 대구맑은물주식회사(특수목적법인)가 추진하고 2026년 말 실시계획 승인과 함께 본격적으로 공사를 착공해 2029년 말 마무리할 계획이다.이후 대구시가 소유권을 넘겨받아 20년간 임대해 사용하게 된다.한편 대구시는 하수 악취 저감과 수질 환경 개선을 위해 하수관로 분류화를 재정사업과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 방식으로 병행 추진하고 있다.재정사업 36개소(663.7㎞ 1조 3천억원) / BTL 6개소(724㎞ 1조 3천억원) 2032년까지 총 2조 6천억원을 투입해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며 사업 완료 시 대구시의 하수관로 분류화율은 면적 기준 40.2%(연장 기준 57.6%)에서 약 80%까지 대폭 향상돼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이번 실시협약이 민간의 전문성과 효율성을 활용해 기존 재정사업으로 추진해 오던 공공 인프라 확충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모범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본 사업의 시작이 대구시의 침체된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와 환경 인프라 선진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2025-10-13
-
첨단기술 스타트업, 대구에 모인다! 「2025 스타트업아레나」 개최
행사 개요 및 포스터 (사진제공=대구광역시)
[아시아월드뉴스] 국내 기술혁신 스타트업과 관련 전문기관이 한자리에 모이는 ‘2025 스타트업아레나’ 가 10월 22일(수)부터 25일(토)까지 나흘간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다.본 행사는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 와 동시 개최되며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스타트업 아레나’는 2024년부터 FIX와 함께 새롭게 시작한 스타트업 전문 전시회로 CES 및 FIX 혁신상 수상기업(10개사), 삼성 C-Lab 아웃사이드 대구 선정기업(11개사), 지역 우수 스타트업(9개사), 관련 전문기관 등 총 38개 기업과 기관이 참여한다.행사에서는 ▲혁신 스타트업 전시관 ▲전문가 멘토링 및 컨설팅 ▲대구- 경북권 혁신 스타트업 통합 IR(기업설명회) ▲비즈니스 상담회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스타트업 전시관은 CES- FIX 혁신상 수상기업 중심으로 구성되며 지역 우수 스타트업의 혁신 기술을 체험형 콘텐츠로 구현해 관람객에게 흥미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라이온로보틱스는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를, ㈜에이트테크는 AI 자원순환 선별로봇 ‘에이트론’을 VR 전시로 선보인다.또한 ㈜픽셀로의 스마트 안건강 지킴이 ‘NENOON’, ㈜엠디에이의 맞춤형 운동 추천 디바이스 ‘i-Mirror’ 등 다양한 전시와 함께 방문객 대상 건강 자가 진단체험도 마련된다.행사 기간 동안 하나증권, iM뱅크, IBK창공 대구, 한국엔젤투자협회 대경권 엔젤투자허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달구별브릿지사업단, 한국발명진흥회, K-ICT 창업멘토링센터 등 8개 기관의 사업화 전문가들이 참여기업과 1:1 상담을 진행해 기술 고도화, 시장 진입 전략 및 투자유치 등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위한 컨설팅을 제공한다.달구별브릿지사업단 : 대구지역 5개 창업보육센터(중소기업성장지원센터, 대구드림파크, 대구공업대학교- 영남이공대학교- 수성대학교 창업보육센터)가 연합한 기관 22일(수) 오후 2시에는 대구- 경북 창조경제혁신센터와 대경권 엔젤투자 허브가 공동 주최하는 ‘대구- 경북권 혁신스타트업 통합 IR’ 가 열려 지역 창업지원기관 간 협업은 물론, 엔젤투자자- 벤처캐피털(VC)- 액셀러레이터(AC)와의 네트워크 형성 및 투자지원 연계 방안을 모색한다.참여 스타트업은 동시에 열리는 ‘FIX 2025’ 참여기업과 함께 수출- 구매상담회, ‘대구나이트’ 등 다양한 비즈니스 프로그램에 참여해 국내외 시장 진출과 파트너십 형성, 투자유치의 기회를 가질 수 있다.최운백 대구광역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지역 첨단 기술 스타트업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향후 대구 미래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2025-10-13
-
대구 도시철도 4호선 건설사업 주민설명회 개최
노선도 및 사업 개요 (사진제공=대구광역시)
[아시아월드뉴스] 대구교통공사는 대구 동북부 지역의 도시철도 사각지대 해소와 주민 교통편의 증진 및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추진 중인 도시철도 4호선 건설사업에 대해 오는 10월 30일(목)부터 31일(금)까지 이틀간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이번 주민설명회는 수성구- 동구- 북구 등 노선 연계 지역에서 개최되며 실시설계 주요 내용과 환경영향평가 초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주민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주민설명회에서는 도시철도 4호선 1- 2공구의 ▲노선 선형계획 ▲본선 교량 계획 ▲정거장 및 건축계획 ▲기존 노선과의 환승 계획 등 현재 진행 중인 실시설계의 핵심 내용이 소개된다.또한, 4호선 건설이 소음- 진동, 대기질, 경관, 일조 등 주변 환경에 미칠 영향에 대한 예측 결과와 저감방안 등 환경영향평가서 초안 설명도 함께 이뤄질 예정이다.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은 10월 10일(금)부터 11월 7일(금)까지 대구광역시(철도시설과), 대구교통공사(건설관리팀), 수성구- 동구- 북구- 중구 환경과에서 공람할 수 있으며 대구시 홈페이지와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EIASS)에서도 확인 가능하다.의견 제출은 11월 14일(금)까지 서식에 따라 각 공람 장소에 서면 제출하거나, 환경영향평가 정보지원시스템(EIASS)을 통해 등록할 수 있다.김기혁 대구교통공사 사장은 “주민설명회를 통해 시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실시설계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며 “앞으로도 대구 도시철도 4호선 건설에 대한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사업개요는 수성구민운동장역~동대구역~경북대~엑스코~이시아폴리스 구간에 걸쳐 진행된다.사업규모는 L12.56km, 정거장 12개소, 차량기지 1개소이다.총사업비는 8,821억원(국비 5,040, 시비 3,781)이며 사업기간은 2021년부터 2030년까지이다.추진상황을 보면, 대구광역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고시는 '18년 7월,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는 '20년 12월에 이루어졌다(B/C0.87, AHP0.503).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 착수는 '21년 5월, 기본계획 승인-고시는 '24년 2월에 완료됐다.턴키방식 입찰 공고는 '24년 7~9월에 진행되며 실시설계 적격자 선정 및 실시설계 착수는 '25년 4~6월로 예정되어 있다.(1공고: 서한컨소시움, 2공구: 코오롱컨소시움) 향후계획으로는 주민설명회 개최가 '25년 10월(수성구: 10월 30일 동구-북구: 10월 31일)에 예정되어 있다.실시설계 완료는 '25년 12월, 사업계획승인 등 행정절차 이행 및 공사 착공은 '26년 상반기에 이루어질 예정이다.도시철도 4호선 개통은 '30년 12월을 목표로 한다.
2025-10-13
-
대구경북소년소녀합창페스티벌<우노세(우리가 노래하는 세상)> 개최
13 보도자료 관련 사진 및 첨부자료/6 대구경북소년소녀합창페스티벌 우리가 노래하는 세상 개최/[붙임2] 경산교육지원청 청소년합창단 (사진제공=대구광역시)
[아시아월드뉴스] 대구경북소년소녀합창연합회 제1회 연합합창제 ‘우리가 노래하는 세상(우노세)’ 가 10월 18일(토) 저녁 6시 30분, 대구문화예술회관 팔공홀에서 펼쳐진다.이번 합창제에는 대구시립소년소녀합창단, 대구유스콰이어 경산교육지원청 청소년합창단, 리틀하모니, 대구오페라유스콰이어가 참여해 다채로우면서도 조화된 무대를 선보인다.합창제의 주제인 ‘우리가 노래하는 세상’은 세대를 넘어 음악으로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조화로운 사회를 만드는 의미를 담았다.‘대구경북소년소녀합창연합회’는 앞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다양한 공연 기회를 제공하고 시민들에게 음악을 통한 문화 향유의 장을 확대하는 목표로 활동할 계획이다.특히 출연 합창단이 함께하는 마지막 연합합창 무대 ‘우리가 노래하는 이유’는 각 합창단의 순수한 목소리와 열정이 어우러져 세대를 넘어 음악으로 서로의 마음을 나누자는 메시지를 전달하며 관객들에게 따뜻하고 풍성한 감동을 선사할 예정이다.김문영 대구경북소년소녀합창연합회장은 “대구- 경북 소년소녀합창단은 시민과 함께, 어린이들과 함께 음악으로 성장하는 길을 만들어 가겠다”며 “연합합창 무대를 통해 합창의 질적 향상과 대중화를 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관람료는 전석 1만원으로 대구문화예술회관 누리집과 놀티켓에서 예매할 수 있다.
2025-10-13
-
대구시향, ‘제24회 대학생 협주곡의 밤: 라이징 아티스트 콘서트’ 개최
13 보도자료 관련 사진 및 첨부자료/8 대구시향 제24회 대학생 협주곡의 밤 라이징 아티스트 콘서트 개최/[붙임3] 2024년 대학생 협주곡의 밤 공연모습 (사진제공=대구광역시)
[아시아월드뉴스] 대구- 경북 젊은 연주자들의 가능성을 무대 위에 실현하는 대구시립교향악단(이하 대구시향) ‘대학생 협주곡의 밤 : 라이징 아티스트 콘서트’ 가 올해로 24회를 맞는다.1984년 11월, ‘제1회 대학생 협주곡의 밤’ 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이 연주회는 수십 년간 지역 음악학도의 성장과 도약을 지원해 온 대구시향의 대표적인 인재 육성 프로젝트다.올해 무대 역시 대구시향 오디션을 통해 최종 선발된 4인의 대학생들이 관악기를 위한 다양한 협주곡을 연주하며 오케스트라와의 호흡 속에 한층 깊어진 음악성을 선보일 예정이다.공연은 오는 10월 24일(금) 오후 7시 30분,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에서 열리며 전석 무료로 진행된다.지휘는 대구시향 박혜산 부지휘자가 맡고 협연자로는 조성준(트럼펫, 계명대 4), 성예림(클라리넷, 계명대 3), 양화석(오보에, 계명대 3), 류다영(색소폰, 계명대 2)이 무대에 오른다.무대는 하이든의 ‘트럼펫 협주곡’ 으로 활기찬 시작을 알린다.고전 트럼펫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도록 발명된 키(Key) 트럼펫을 위해 작곡된 이 협주곡은, 밝고 경쾌한 선율과 고전주의 특유의 균형미를 지닌 대표작이다.화려한 기교와 선명한 음색이 돋보이며 협연을 맡은 트럼페터 조성준은 제26회 대구음협 전국학생음악콩쿠르 전체대상, 제1회 SIMF 관악콩쿠르 대학부 대상 등을 수상하며 실력을 인정받은 연주자로 안정적인 테크닉과 생기 있는 표현력으로 무대를 장식할 예정이다.이어지는 무대는 성예림의 클라리넷 협연으로 꾸며지는 코플런드의 ‘클라리넷 협주곡’ 이다.재즈와 클래식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 곡은 미국의 작곡가 에런 코플런드가 재즈 클라리네티스트 베니 굿맨을 위해 쓴 작품으로 독주자에게 자유로운 리듬감과 감수성을 요구한다.성예림은 제65회 이화경향음악콩쿠르, 제30회 음악춘추 콩쿠르 등에서 입상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깊이 있는 음색과 섬세한 표현력을 바탕으로 곡의 활기찬 정서를 감각적으로 전달할 예정이다.휴식 후 무대에는 오보이스트 양화석이 연주하는 칼리보다의 ‘오보에 소협주곡’ 이 이어진다.오보에의 유연함과 서정적인 선율미를 잘 살려낸 곡이다.섬세한 기교와 풍부한 감정 표현이 요구되는 이번 작품에서 양화석은 경성대 음악콩쿠르, 대구음협 전국학생음악콩쿠르 등 다양한 대회 수상 경력과 함께 경북도향, 대구시향 등과의 협연 및 객원 연주 경험을 통해 다져온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오보에 특유의 서정성과 민첩한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풀어낼 예정이다.마지막 무대는 류다영이 선보이는 크레스턴의 ‘알토 색소폰 협주곡이다.미국 작곡가 폴 크레스턴이 색소폰의 클래식 악기로서의 가능성을 열기 위해 1941년에 발표한 이 곡은 드라마틱한 전개와 리드미컬한 에너지로 잘 알려져 있다.알토 색소폰의 활기차면서도 풍부한 음색이 오케스트라와의 대화 속에서 빛을 발하며 관객을 사로잡는다.류다영은 울산대 음악콩쿠르, 연세 윈드 콩쿠르 등 다수의 전국 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고 울산클래식음악제, 아크앙상블, 양산윈드오케스트라 등에서 협연자로 무대 경험을 쌓아왔으며 이번 공연에서 색소폰이라는 악기의 클래식한 매력을 한껏 끌어올릴 예정이다.공연을 앞둔 박혜산 지휘자는 “협연자들의 성실한 준비 과정과 음악에 대한 진심이 연습 과정에 그대로 드러난다.관객 여러분도 이들의 연주를 통해 음악이 주는 감동과 에너지를 고스란히 느끼시길 바란다”고 전했다.이어 “‘대학생 협주곡의 밤’은 지역 출신 청년 음악가들이 오케스트라와 함께 만드는 음악을 통해 대구 음악계의 현재와 미래를 확인하는 중요한 무대다.대구시향은 앞으로도 지역 음악 인재 발굴과 성장을 지원하며 클래식 음악이 더욱 깊이 뿌리내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티켓은 무료이며 관람은 사전 예약제로 운영된다.1인 4매까지 대구콘서트하우스 누리집 또는 대구시향을 통해 예약할 수 있고 초등학생 이상 관람 가능하다.공연개요 ● 지휘 : 박혜산 Park Hyesan _ 부지휘자 Assistant Conductor ● 협연 : 조성준(트럼펫), 성예림(클라리넷), 양화석(오보에), 류다영(색소폰) ● 일시 : 2025. 10. 24. Fri.7:30PM ● 장소 : 대구콘서트하우스 그랜드홀 ● 티켓 : 전석 무료 (1인 4매 한정) ● 예약 : 대구콘서트하우스 daeguconcerthouse.or.kr ● 문의 : 대구시립교향악단 053-430-7765 ● 주최/주관 :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문화예술회관/대구시립교향악단 사전 예약자에 한해 관람 가능하며 만석 시 입장이 제한된다.공연의 상세 정보는 변경될 수 있으며 초등학생(8세) 이상 관람 가능한다.프로그램 하이든 – 트럼펫 협주곡 E♭장조, Hob.VIIe:1 (J.Haydn - Trumpet Concerto in E-flat major, Hob.VIIe:1) I.Allegro, II.Andante, III.Finale : Allegro (Tp.조성준, 연주시간 약 15분) 코플런드 – 클라리넷 협주곡 (A.Copland – Concerto for Clarinet and String Orchestra, with Harp and Piano) I.Slowly and Expressively, II.Rather Fast (Cl.성예림, 연주시간 약 17분) Intermission 칼리보다 – 오보에 소협주곡 F장조, Op.110 (J.W.Kalliwoda – Oboe Concertino in F major, Op.110) I.Allegro con Fuoco, II.Romanze : Adagio, III.Vivace (Ob.양화석, 연주시간 약 16분) 크레스턴 – 알토 색소폰 협주곡, Op.26 (P.Creston – Concerto for Alto Saxophone and Orchestra, Op.26) I.Energetic, II.Meditative, III.Rhythmic (A.Sax.류다영, 연주시간 약 20분) 공연의 상세 정보는 내부 사정에 따라 사전 공지 없이 변경될 수 있다.
2025-10-13
-
한의학- 분당차병원과 한약 유래 장 섬유화 치료 가능성 제시
연구결과 도식화 자료 (사진제공=대구광역시)
[아시아월드뉴스]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박구선)와 한국한의학연구원, 분당차병원 연구진이 한약 유래 난치성 장질환 치료제 후보물질의 가능성을 확인했다.연구진들은 장 섬유화(Intestinal fibrosis) 진행을 억제하는 새로운 치료전략이자 천연물 유래 성분 ‘Prim-O-glucosylcimifugin(POG)’의 기능을 밝혀냈다.연구결과 POG는 TGFβ /MAPK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하고 세포외기질(ECM)재구성을 억제함으로써 과도한 섬유화 반응을 완화하는 분자적 기전을 보유하고 있다.POG는 섬유아세포의 활성화를 억제하고 콜라겐 침착을 감소시켜 장 조직의 구조적 손상을 완화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연구진은 결과를 국제학술지 ‘Life sciences’에 발표했고 논문은 ‘Prim-O-glucosylcimifugin attenuates intestinal fibrosis by modulating TGF-β / MAPK signaling and ECM remodeling’을 제목으로 게재됐다.연구를 통해 밝혀낸 성분은 한약 유래 천연물로서 만성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염증성 장질환의 장 협착 및 수술적 절제를 예방, 신약 후보물질로의 발전 가능성이 높아 신약개발 파이프라인 확장과 글로벌 공동연구 추진의 교두보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협력은 기존 동물실험 중심의 접근을 넘어,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인 전임상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병원-연구기관-학계 간 삼자 협력모델의 사례로 긴밀한 협력을 통해 기전 분석 및 후보물질의 분자적 효과 규명부터 환자샘플 제공 및 임상데이터 연계, 플랫폼 구축 및 효능 검증까지 수행했다.박구선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공동 연구를 통해 구축한 장 섬유화 억제 후보물질 스크리닝 플랫폼이 실제로 후보물질 검증에 성공적으로 활용된 것은 큰 성과”며, “앞으로도 산- 학- 연- 병 협력을 통해 전임상 및 임상 연구의 가교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국내 바이오헬스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한국한의학연구원 기본사업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창의형 융합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한국한의학연구원이 주관하고 분당차병원 소화기내과가 환자유래 장 근섬유아세포를 제공, K-MEDI hub와 한국한의학연구원에서 구축한 장 섬유화 억제 후보물질 스크리닝 플랫폼을 활용해 물질의 효능을 검증했다.
2025-10-13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