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흥륜사지(전 영묘사지) 출토 불교공양구의 가치와 의미 재조명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학술대회 개최(11.13. 경주 힐튼호텔)… 불교미술·고고학·보존과학 등 분야별 연구 성과 논의

김경환 기자
2025-11-11 12:42:33




학술대회 포스터 (경주시 제공)



[아시아월드뉴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오는 11월 13일 오전 10시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경주 흥륜사지 출토 불교공양구의 가치와 의미’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2023년 경주시 사정동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의 조사·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당시 불교 의례 문화의 성격과 의의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마련됐다.

불교미술·고고학·보존과학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불교공양구의 보존처리와 과학적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각 분야의 연구 성과를 다각도로 논의할 예정이다.

학술대회는 1건의 발굴조사 성과 발표, 5건의 주제발표, 그리고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발표인 △‘경주 흥륜사 출토 불교공예품의 발굴조사 현황과 성과’를 시작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흥륜사지 출토 불교공양구에 대한 과학적 분석, 고고학적, 미술사적, 불교사적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 ‘흥륜사 서편 출토 불교공예품의 보존처리와 과학적 분석’에서는 2년에 걸친 보존처리 과정과 철솥 내부에서 확인된 다양한 유기물의 과학적 분석 결과를 공개한다.

△‘경주 사정동 출토 불교공예품의 종류와 성격’에서는 불교미술사적 관점에서 출토 유물의 종류와 특징, 제작시기와 성격을 분석한다.

이어서 △‘고려시대 불교공예품의 종류와 특징 : - 발견, 발굴된 불교공양구를 중심으로-’에서는 창녕 말흘리 사지, 군위 인각사지, 영주 금강사지, 서울 도봉서원, 청주 운천동 일원 등 국내 여러 절터에서 발굴된 공양구의 형태와 용도를 비교해 본다.

△ ‘불교공양구의 매납 양상과 의미’에서는 흥륜사지 출토 불교공양구의 매납 양상과 불교사적 의미를 탐구한다.

△ ‘일본의 밀교의식과 법구’일본 간사이대학)에서는 일본 밀교의식 가운데 ‘호마의식’과 사용된 법구를 중심으로 한·일 양국의 불교 의식문화를 비교 연구한다.

호마의식 : 불교의 수행법 중 하나로 불을 피우고 불 속에 공양물을 던져 수행하고 기원하는 의식을 말한다.

모든 발표가 끝난 후에는 임영애 동국대학교 교수를 좌장으로 한우림, 한정호, 이연주, 김동하, 오인스님 등 각 분야 전문가들과 발표자들이 불교공양구의 제작과 사용, 매납의 의미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