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월드뉴스] 춘천시(시장 육동한)가 2025 인구주택총조사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통계상황실을 열었다.
시는 13일 시청 맞은편(시청길 32) 건물 3층에서 통계상황실 개소 현판식을 개최했다.
이번 통계상황실 개소로 춘천시는 조사원 교육, 민원 대응, 조사 관리 지원 등 전 과정의 체계적 준비를 마쳤다.
시는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통계 확보를 위해 전 행정력을 집중할 계획이다.
상황실장은 현준태 부시장이 맡는다.
올해로 100주년을 맞는 인구주택총조사는 10월 22일부터 전국적으로 동시에 진행된다.
10월 31일까지는 인터넷- 전화조사가, 11월 1일부터 18일까지는 방문조사가 이뤄진다.
조사기준 시점은 11월 1일 0시이며 대한민국 영토의 20% 표본조사구 내 상주하는 내- 외국인과 거처를 대상으로 총 55개 항목을 조사한다.
행정자료 활용 확대와 태블릿PC 도입으로 정확성과 편의성을 높였으며 응답자의 개인정보는 통계법에 따라 철저히 보호된다.
수집된 자료는 국가정책 수립과 평가, 학술연구, 민간 경영 등 사회 전반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시 관계자는 “시민 한 분 한 분의 참여가 우리 지역의 더 나은 정책과 서비스로 이어진다.
적극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2025 인구주택총조사 실시]
전국의 모든 인구, 가구, 거처에 관한 사항을 5년 주기로 조사하는 국가 기본 통계조사
올해는 100주년을 맞이하는 뜻깊은 해로 인터넷, 전화, 가구 방문 등의 방법으로 10~11월 중 실시
사업개요
조사대상: 대한민국 영토 내에 상주하는 모든 내·외국인과 거처
조사기간: 2025. 10. 22. ~ 11월 18일(28일간)
- (사전)인터넷 및 전화조사: 2025. 10. 22. ~ 10. 31.(10일간)
- 방문 면접조사: 2025. 11월 1일 ~ 11월 18일(18일간)
조사방법: 조사원에 의한 가구방문 면접(인터넷조사, 전화조사 병행)
조사내용: 55개 항목(국적,교육,보육,직업,통근·통학,거주기간 등)
현장조사 42개, 행정자료 등 대체 13개
조사체계: 통계청(주관), 춘천시(실시)
주요 추진 일정
조사요원 채용/교육 실시: 2025. 8. ~ 9. / 2025. 9. ~ 10.
상황실 설치: 2025. 9.
조사실시: 2025. 10. 22. ~ 11월 18일(28일간)
결과공표: 2026. 11.
조사내역 활용
인구·가구·주택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를 파악, 국가 주요 정책의 기초자료
국민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조사하는 각종 표본조사의 모집단 및 표본틀
장래 인구·가구 추계 등 2차 가공통계 작성·활용 및 다양한 사회 및 주거 지표 작성을 위한 기초자료
대학·연구기관의 연구 및 민간 기업체의 경영 자료로 활용,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및 상품 기획 등
중점 추진사항
총조사에 대한 응답 접근성·편의성을 높여 시민의 적극적 참여 확대
- 전자조사(태블릿PC 등 활용) 고도화 및 AI 기반의 콜센터 도입
- 응답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 및 정보 제공으로 응답 편의성 개선 (QR코드 기입된 조사안내문 발송, 전화·방문 면접조사 예약 등)
- 다양한 홍보를 통한 총조사 이해 증진으로 국민 참여 확대
사회 변화상을 반영한 신규 통계 생산으로 자료 활용도 제고
- 조사항목 55개(현장조사 42개, 행정자료 대체 13개)
- 전주기 대비 신규 7개, 조사 중지 7개, 변경 18개
행정자료 활용, 지능형 자료처리 및 현장내검 강화로 정확성 제고
- 행정자료 대체·활용을 확대해 응답·조사 부담 경감 및 품질 제고
- 지능형 자료 입력·처리를 통한 오류 최소화로 총조사 정확성 제고
- 현장조사 관리 강화를 통해 총조사 품질 제고
총조사 전 과정의 디지털화를 통한 조사 효율성 제고
- 차세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으로 총조사 전 과정 디지털화 및 효율화
- 최신 IT(지리정보, 인공지능 등) 활용 선제적인 시스템 구축·운영
- 채용서류 전자문서화, 조사원 동선 파악, 긴급호출 기능 등 편리하고 안전한 총조사 실시
[참고 1: 2025 인구주택총조사 조사항목]
구분: 인구(35), 가구(14), 주택(6)
표본 항목(55):
인구(35) 항목: 성명, 성별, 생년월일(나이), 가구주와의 관계, 국적, 입국 연월, 가구내 사용언어, 한국어 실력, 출생지, ⑩종교, ⑪교육 정도, ⑫교육 영역, ⑬아동 보육, ⑭활동 제약, ⑮활동 제약 돌봄, ⑯통근·통학 여부, ⑰통근·통학 장소, ⑱이동교통수단, ⑲통근- 통학 소요시간, ⑳경제활동 상태, ㉑종사상지위, ㉒산업, ㉓근로장소, ㉔직업, ㉕현 직업 근무연수, ㉖혼인상태, ㉗결혼 계획·의향, ㉘자녀 계획·의향, ㉙경력단절, ㉚가족돌봄시간, ㉛생활비 원천, 1년 전 거주지, 5년 전 거주지, 출산 자녀 수, 자녀 출산 시기
가구(14) 항목: 1인 가구 사유, 혼자 산 기간, 방의 수, 난방 시설, 자전거 보유, 자동차 보유 및 주차장소, 건물 및 거주층, 거주 기간, 점유 형태, ⑩임대 주체, ⑪임차료, 가구구분, 주거시설형태, 타지 주택 소유 여부
주택(6) 항목: 거처의 종류, 주거용 연면적, 대지면적, 건축연도, 총방수, 주거시설수
조사원 교육·민원 대응 등 전 과정 총괄
오는 22일부터 전국 동시 인구주택총조사 실시
저작권자 © 아시아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