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하승철 하동군수와 김준동 한국남부발전 사장은 옥종면 종화리·두양리 일원에 양수발전소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두 기관은 이를 통해 2025년 산업부의 제11차 전력수급계획에 선정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양수발전은 남는 전력으로 하부저수지의 물을 상부저수지로 끌어올린 뒤 물을 다시 떨어뜨려 전기를 얻는 발전 방식으로 발전 시 탄소가 발생하지 않아 기후 위기를 맞은 현시대에 적합한 전원이다.
하동군과 한국남부발전은 1993년 하동화력발전소 1, 2호기 착공 시부터 인연을 맺은 후 전력 수급 안정 및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함께 추진해 왔다.
그러나, 지난해 산업부가 발표한 제10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전국의 석탄 발전이 순차적으로 축소되어 하동화력발전소 또한 2027년부터 2031년까지 총 6기의 화력발전소 폐쇄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화력발전소가 폐쇄되면 인구감소는 물론 지방세 수입 감소, 지역 경기 침체 등 영향으로 인해 하동군의 지역소멸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위험에 처한다.
이에 두 기관은 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으로 신규 양수발전소 유치를 준비 중이다.
양수발전소 유치 효과로는 △특별지원금 등 783억원 확보 △상주직원으로 인한 인구 유입 △지역경제 활성화 △지방세수 증대 등이 예상된다.
또한, 옥종면의 특산품인 딸기와 저수지를 연계해 하동의 대표 관광자원으로 만들기 위한 준비도 현재 진행 중이다.
하승철 하동군수는 “하동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위기가 소리 없이 다가오고 있으나, 침착하게 하나씩 대응토록 하겠다 양수발전 유치는 그 대응책 중 하나이다 남부발전, 옥종면 주민들과 지혜를 잘 모아서 반드시 유치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그 과정에서 환경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남부발전과 협력해 하동군의 천혜의 자연을 지켜내겠다”고 밝혔다.
하동군은 화력발전소 폐쇄가 지자체의 문제를 넘어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한국남부발전과 함께 꾸준히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아시아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