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아열대 채소, 소득작물화’ 시도

기후변화 대응 노지 시범재배 시행

김성훈 기자
2024-10-21 08:45:02




남해군‘아열대 채소, 소득작물화’ 시도



[아시아월드뉴스] ‘동남아시아 지역의 대표 채소 공심채와 한국의 대표 양념 된장이 만났다’ 남해군 농업기술센터가 아열대 채소의 한식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지난 17일 개최한 시식회에 ‘공심채 된장무침’ 이 등장했다.

시식회에 참여한 80여명의 직원 대부분이 “합격이다”를 외쳤다.

남해군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공심채를 포함한 5종의 아열대 채소를 노지에서 시범 재배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아열대 채소는 조리 시 뮤신 성분의 점액질이 나오는 특징이 있어, 한국 소비자들에게는 호불호가 갈릴 수 있는 상황이다.

남해군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 한국인들의 입맞에 맞는 아열대 채소의 다양한 요리법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아열대 채소가 남해군의 새로운 소득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해 간다는 계획이다.

이날 선보인 ‘공심채 된장무침’은 아열대 채소의 소득작물화 가능성을 엿볼 수 있게 했다.

실제로 관내 외식업체인 남해축협 한우프라자에서는 올해 9월 말부터 ‘공심채 된장무침’을 반찬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소비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공심채는 특유의 향이 없고 맛이 순해 다양한 요리에 잘 어울리며 아삭한 식감 덕분에 볶음, 김치, 찜, 샐러드, 국, 전, 쌈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남해군은 앞으로 고추장 등 다양한 양념을 접목해 공심채의 새로운 요리법을 개발할 계획이다.

남해군농업기술센터 민성식 소장은 “공심채와 된장의 만남은 소비자들에게 친숙하면서도 색다른 경험을 선사할 수 있다”며 “이런 시도를 통해 아열대 채소의 한식화 가능성을 더욱 확고히 하고 새 소득작물의 판로도 개척할 수 있는 계기로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