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위생용품 생산·수입규모 2조 7362억원

출산율 저하로 어린이용 기저귀 공급량 전년 대비 15.3% 감소

김경환 기자
2023-07-20 10:13:27




식품의약품안전처©PEDIEN



[AANEWS]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2년 위생용품 전체 생산·수입 규모가 2조 7,362억원으로 전년 대비 14.1%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 중 국내 위생용품 생산액은 2조 2,758억원으로 전년 대비 13.7% 증가, 수입액은 4,604억원으로 전년 대비 16.3% 증가했다.

지난해 위생용품 산업 시장의 주요 특징은 어린이용 기저귀 공급량 감소 일회용 숟가락·젓가락 등의 공급량은 전년과 유사, 일회용 컵 공급량 증가 위생물수건 공급량 증가 등이다.

전체 일회용 기저귀의 ’22년 공급량은 전년 대비 8.5% 감소했으며 일회용 기저귀 중 어린이용 기저귀는 출산율 저하의 영향으로 ’22년 공급량은 약 5만 8,432톤으로 전년 대비 15.3%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9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또한, 성인용 기저귀의 ’22년 공급량도 전년 대비 4.3% 감소해 약 10만 7,129톤으로 집계되었으나, 어린이용 기저귀와는 달리 ’19년 공급량에 비해 약 24.1% 증가한 수준이다.

아울러 우리나라 인구의 고령화와 출산율 저하로 인해 전체 일회용 기저귀 공급량 중 성인용 기저귀가 차지하는 비중은 64.7%로 어린이용 기저귀에 비해 약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배달비 상승 등으로 배달 음식의 성장세가 다소 감소하고 일회용품의 사용 규제 정책 시행의 영향으로 일회용 숟가락·젓가락·포크·나이프의 공급량은 전년도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회용 컵의 공급량은 19만 1,532톤으로 전년 대비 2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인한 야외활동 증가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다만, ’19년 공급량과 비교했을 때는 62.3%에 불과한 수준으로 이는 매장 내 일회용 컵 사용금지 정책이나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등에 대한 국민의 인식 수준 향상에 의한 결과로 분석됐다.

이제는 배달 음식보다는 외식, 위생물수건 공급량 증가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 따라 외식이 증가하면서 식품접객업소에서 손을 닦는 용도로 사용하는 위생물수건의 공급량이 3억 420만 매로 전년 대비 16.7% 증가했다.

생산액 기준 상위 5개 품목은 화장지 9,494억원 일회용 기저귀 3,243억원 일회용 컵 2,836억원 일회용 타월 2,576억원 세척제 2,157억원 순으로 상위 5개 품목이 위생용품 전체 생산액의 89.2%를 차지했다.

화장지의 생산액은 전년 대비 14% 증가한 9,494억원으로 ’19년부터 생산액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회용 기저귀의 생산액은 전년 대비 3.9% 감소했으나 3,243억원으로 생산액 중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

일회용 컵의 생산액은 전년 대비 29.3% 증가해 세 번째로 많은 생산액을 기록했다.

식약처는 이번 생산·수입 실적 자료가 위생용품 산업 분야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며 앞으로도 안전한 위생용품이 제조·유통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