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ANEWS] 질병관리청은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건강 수준과 관리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는 구강보건법 제9조에 근거한 3년주기 실태조사로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보건정책 수립 및 사업 평가,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000년 처음으로 조사를 실시한 이후 8번째조사이며 유치 건강상태를 대표하는 만5세와 영구치 건강상태를 대표하는 만12세 아동을 대상으로 치과의사가 각 기관을 방문해 구강검진과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최근 10년간 아동의 구강건강 수준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 중 우식 유병자율은 감소추세이나 우식 경험자율과 우식경험지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2021-2022년 조사결과 만5세 아동의 유치우식 경험자율은 66.4%로 2018년 대비 소폭 감소, 유치우식 유병자율은 30.2%로 감소, 우식경험유치지수는 3.41개로 차이가 없었다.
만12세 영구치우식 경험자율은 58.4%로 2018년 대비 소폭 증가, 우식경험영구치지수는 1.94개로 소폭 증가했고 영구치우식 유병자율은 차이가 없었다.
영구치우식 유병자율은 경제상태와 거주지역에 따라 차이를 보여 경제상태 “하”그룹이 “상” 그룹에 비해 두 배 이상 높았고 지역별로 시지역에 비해 군지역이 높았다.
최근 10년간 만12세 아동의 치면열구전색 영구치보유자율은 2009년 건강보험 치면열구전색 급여화 및 2017년 본인부담금 인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1-2022년 조사결과 치면열구전색 영구치보유자율은 66.1%로 2018년 대비 증가했으며 치면열구전색 영구치 수는 2.36개로 2018년과 차이가 없었다.
치면열구전색 영구치보유자율은 경제상태 “하” 그룹이 “상” 그룹에 비해 낮았고 지역별로 시지역에 비해 군지역이 낮았다.
최근 10년간 만12세 아동의 치과진료 수진율은 증가, 치과진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함에도 진료를 받지 못한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감소 경향이었다.
2021-2022년 조사결과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은 61.0%로 2018년 대비 10%p 감소했고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17.7%로 2018년 대비 2.7%p 증가했다.
경제상태 “하” 그룹이 “상” 그룹에 비해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이 10%p 이상 낮았고 미충족 치과치료필요율은 약 2배 정도 높았다.
지역별로 군지역이 시지역에 비해 최근 1년간 치과진료 수진율이 낮았다.
최근 10년간 만12세 아동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증가, 우식성 간식섭취율은 2012년 이후 소폭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021-2022년 조사결과 만12세 아동의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15.2%로 2018년 대비 18.1%p 감소했으며 우식성 간식 섭취율은 54.9%로 큰 차이가 없었다.
경제상태 “하” 그룹이 “상” 그룹에 비해 점심식사 후 칫솔질 실천율은 3%p 정도 낮았으며 우식성 간식 섭취율은 5.4%p 높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 유행에서도 우식 경험 및 유병, 우식경험지수 등 구강건강 수준은 큰 변화가 없었으나 치과진료 수진, 칫솔질 실천 등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악화됐으며” “구강건강관리 행태는 치아 우식 등 구강건강에 단기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나, 향후 아동의 구강건강에 바람직하지 않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구강건강 수준 변화와 관련요인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평생 건강한 치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아동 및 부모님 대상으로 우식 발생 예방을 위한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식습관 개선 등 맞춤형 교육·홍보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연구책임자인 마득상 교수는 “2010년 이후 우식경험 지표가 큰 폭으로 개선되지 못하고 경제 수준· 지역간 격차 등 건강불평등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영유아 시기부터 치아우식의 위험요인 관리를 위한 적극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2021-2022년 아동구강건강실태조사 통계집은 2023년 7월에 국민건강영양조사 누리집에 원시자료와 함께 공개하고 구강건강정책 수립 근거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심층분석을 실시해 ‘국민건강통계플러스’를 통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아시아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