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에서 간 섬유화 진행을 막으려면, 근육의 양보다 ‘질’에 신경써야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이 많을수록 간 섬유화 발생 위험이 2.8 배 높아

김희연
2023-06-21 15:10:11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에서 간 섬유화 진행을 막으려면, 근육의 양보다 ‘질’에 신경써야



[AANEWS]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비알코올 지방간질환 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을 조기에 예측·진단하고 중재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심뇌혈관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비알코올지방간 환자 코호트 구축’ 과제를 기획·지원하고 있다.

2021년 대한간학회에서 발표된 비알코올지방간질환 진료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국내 비알코올지방간질환 전체 인구의 유병률은 약 20~30%, 발생률은 인구 1,000명당 연간 약 45명로 파생되는 경제·사회적 손실이 매우 큰 질환이다.

연구진은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들의 근육 질 지도를 이용해 근육의 질을 구분한 결과,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을 많이 가진 환자군에서 간 섬유화 진행 위험도가 크게 증가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근감소증이 있거나 골격근량이 적은 경우 비알코올지방간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었으나,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들에서의 간 섬유화 진행에 근육의 질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거는 분명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된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 292명을 대상으로 복부 CT로 평가된 근육의 질에 따라 근육량을 네 군으로 나누어 간 섬유화 진행 정도를 추적 조사 했다.

그 결과,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을 가장 많이 가진 환자군이 가장 적게 근육량을 가진 환자군에 비해 간 섬유화 진행 위험도가 2.8배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근육에 지방이 거의 없는 건강한 근육량과 전체근육량은 간 섬유화 진행 위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는 간 조직검사를 통해 진단된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들에서 특히 근육의 질이 간 섬유화 진행 여부 결정에 매우 중요한 인자임을 직접 확인한 결과이며 더 나아가 비조영 복부지방 CT 촬영을 통한 근육의 질 평가로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에서 간 섬유화 진행에 민감한 환자들을 조기에 예측하고 진단 할 수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한 결과이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질환 등 소화기내과 분야의 국제학술지인 ‘소화약리학 및 치료학’ 인터넷판에 최근 게재됐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비알코올지방간질환 환자에서 간경변, 심혈관질환 발생의 주요 원인인 간 섬유화로의 진행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근육에 지방이 쌓여 있는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고 이를 위해 식단조절과 함께 유산소 및 근력운동 병행 등 건강한 생활습관 개선 및 실천이 중요하다”고 전하며 “향후, 국립보건연구원은 비알코올지방간질환 단계에서 사전에 심혈관질환 합병증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