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환경에 최적화된 보건의료데이터 전송표준 개발·검증

국제전송기술표준 기반의 한국형 표준 개발 추진

김희연
2023-06-21 11:58:20




보건복지부



[AANEWS] 보건복지부는 ‘민·관 합동 보건의료데이터 표준화 추진단’을 통해 개발 중인 국제전송기술표준 기반 전송표준을 검증하기 위해 6월 7일부터 6월 9일까지 진행된 커넥타손 행사의 모든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FHIR는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국 HL7의 차세대 국제전송표준체계이다.

FHIR 표준방식은 데이터 교류 시 문서 전체가 아닌 리소스 단위로 교류를 가능하게 해 전송이 빠르고 효율적이며 급변하는 IT 환경 및 모바일·클라우드 등 다양한 플랫폼에 대응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번 한국형 전송표준 개발은 정보교류가 필요한 항목 정의 FHIR 기반 핵심공통상세규격을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 커넥타손 과정을 거쳤으며 8개 업체가 참여해 적합성 테스트를 통과했다.

국내에서 최초로 개최된 이번 행사는 국가차원에서 전송표준개발의 공식절차를 준수해 실효성 있는 표준개발을 추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해당 표준은 2023년 8월 ‘보건의료데이터 표준’으로 고시되어 주요 데이터 사업에서 단계적으로 국가 표준을 적용하는 등 의료데이터 사업간 정합성을 높여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보건복지부 은성호 첨단의료지원관은 “커넥타손 개최를 통해 글로벌 수준의 국가 핵심공통상세규격이 마련됐다”고 강조하며 “디지털 환경에서 상호운용성이 보장된 정보교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