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ANEWS] 경남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0년간 수질측정망 운영 자료를 평가한 결과, 도내 낙동강 지류하천 등 수질이 점차 좋아지는 추세라고 밝혔다.
하천 수질측정망 운영사업은 ‘물환경보전법’ 및 환경부 ‘물환경측정망 설치·운영계획’에 따라 환경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하천 수질 모니터링 사업이다.
수질 모니터링은 황강, 남강 등 낙동강 지류 17개 하천 25개 지점, 섬진강 지류인 횡천강 3개 지점, 기타 지류 7개 하천 지점, 도시관류 4지점 등 총 39개 하천 지점에 대해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총인 등 28개 항목을 월 1회 정기적으로 조사한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 : 물이 어느 정도 오염되어 있는가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수중의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될 때 필요한 산소량으로 나타낸다.
10년간의 하천 수질측정망 운영 평가자료 중 수중의 유기물질량을 나타내고 수질오염 지표 항목인 BOD는 낙동강 지류하천 25개 지점의 경우 2014년 2.9mg/L, 2017년 2.0mg/L으로 환경정책기본법 생활환경기준 ‘매우좋음’~‘매우나쁨’ 7단계 중 2~3단계인 ‘좋음’~‘약간좋음’으로 나타났다.
2020년 1.7mg/L, 2022년 1.5mg/L 등 최근 5년간은 한단계 높은 2단계인 ‘좋음’을 나타내어 수질이 점차 좋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섬진강 지류하천 횡천강 지점 BOD는 2014년 1.6mg/L, 2017년 0.7mg/L, 2020년 1.1mg/L, 2022년 0.9mg/L로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매우 좋음’~‘좋음’ 등급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녹조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영양염류 총인의 경우 2014년 0.095mg/L, 2017년 0.072mg/L, 2020년 0.053mg/L, 2022년 0.052mg/L로서 환경부 목표수질인 0.040mg/L 이하를 달성하지는 못하였지만, 10년간의 평균치 자료와 비교해 2022년에는 20.0%정도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3년간은 이전에 비해 총인 농도가 낮은 경향을 보이면서 수질이 좋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변종환 물환경연구부장은 “오염물질 정밀조사 및 배출원 적정 관리를 위한 철저한 수질측정망 운영으로 도민 모두가 깨끗하고 건강한 환경 속에서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아시아월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